분류 전체보기
-
빗물처리 수로관 설치..는 필수입니다.바가지삽질 2024. 7. 18. 11:23
블럭 설치 이후,수로관 설치를 하지 않아 지반이 약해진 상태입니다.이중일이 된거랍니다.블럭 위로 타 넘은 빗물이 아랫집으로 흘러 내려 땅이 파진 상황입니다.뒤늦게나마 수로관을 설치하여 그나마 다행이라 봅니다.빗물로 인한 지반 약화는 그 무엇으로도 막을 길이 없으니까요. 수로관은 프라스틱(PE)로 된 것과 콘크리트로 된 것 두 종류가 있습니다.프라스틱은 2~3년이 되면 변형이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어가능한 콘크리트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가능한 빗물이 수로관으로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일부의 빗물이 수로관을 타고 배수가 잘 되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라 할 수 있습니다.전체 바닥을 컨테이너 안쪽으로 수평을 맞추지만빗물이 한꺼번에 집중적으로 내릴 적에는자연적으로 물길이 생겨나며생겨난 물길이 도랑이..
-
대나무제거작업....바가지삽질 2024. 6. 27. 19:39
진입하는 초입부터...대나무입니다. 이 땅을 20년 동안 관리하지 않은 탓에대나무가 밀식하게 되었네요. 대나무 밀식으로 인해사람조차도 진입을 하지 못합니다. 사람이 베고장비가 정리하고천천히 진입할 수밖에 없는 작업입니다. 대나무의 뿌리까지 처리하지 않으면 작업이 헛수고랍니다. 대나무를 어느 정도 처리하니소나무와 잡목이 보이기 시작하네요.이제 절반을 왔으니앞으로 절반을 더 가야한답니다. 지금은 애물단지로 취급되지만예전엔 대나무가 효자 상품이었답니다.번식잘하고잘 죽지 않고실생활에 사용가능하고여러 가지로 사람에게 이득을 많이 주었지만시대가 변하니여건도 변하기 마련인가 봅니다. 수고하세요
-
저수지의 수초(갈대, 부들, 마름 등) 제거 작업바가지삽질 2023. 11. 23. 06:13
제 자리도 아닌 것이제 자리인양 모든 것이 각자가 제 자리에 있을적이 제일로 좋다고 합니다.때로는 있어야 할 곳에 생각지도 못한 넘(?) ㅎ 이 날아와서 제 자리인양 자리를 틀고 앉아 떡하니 버티는 류가 있답니다.무엇이든 적당히 있는 것은 보기도 좋으나양이 넘치면 그것 또한 일이 됩니다. 이와 같은 (제거)작업을 진행하면서한 가지 느끼는 것이라면"종족 번식"이라는 생각 ^^빽빽하게 자리를 잡아 여타 다른 작물이나여타 다른 족속(?)은 아예 발을 들여 놓지 못하게 한답니다.기존에 심어 놓은 것은아예 뿌리밀생을 통하여햇볕을 보지 못하게 고사시키는 것 보면과히 지능적이며 겁나는 족속입니다. "갈대와 부들 그리고 수생식물"이들에게는 천적이 없답니다.굴착기로 처리하면 되지 않을까요..?농약을 뿌려 죽이면..
-
제대로 안하면 흉물덩어리...주차박스바가지삽질 2023. 10. 19. 11:24
좁은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원주택 내에 설치되는 주차박스 시공을 제대로 하지 않는다면, 애물덩어리로 전락되어 제대로 쓰지도 않는 천득꾸러기 신세랍니다. 드러나는 문제점 문제 1. (내부) 누수 문제 2. (외부) 방수 및 외벽 마감 미처리 문제 3. 하수 시설 미처리 문제 4. 하중 무시 축대 설치 문제 5. (지상부 천정) 방수 미처리로 인한 내부 전기 누수 문제 6. 바닥 지하수 처리를 위한 배관 미설치 가장 큰 문제로 드러나는 것이 외벽 마감과 방수 미처리로 인한 사항이랍니다. 대부분이 외벽 폼을 철거한 뒤, 방수액을 바르면 된다고 생각하는 이가 많습니다. 외벽을 마감 처리한 뒤, 방수처리를 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이랍니다. 이는 외벽에 설치된 폼과 폼 사이의 틈이 발생하는데 물은 아주 미..
-
주먹구구식의 공사에 대비하여야 하는 것바가지삽질 2023. 10. 12. 21:27
주먹구구식의 공사에 대비하여야 하는 것~~~! 대기업과 일반 영세 업체와는 확연한 차이가 있죠. 자금서부터 계획과 시공 등에 있어서 분명히 다릅니다. 하고자 하는 말은 공사의 자금이 크든 작든 그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작은 현장은 작은대로, 큰 현장은 큰대로 굴러 가니까요. 다만, 건축주이든 누구든 공사를 진행하면서 "시방서"하나 없다는 겁니다. "시방서"가 무엇인가요? "시공의 방법을 계획한 서류"입니다. 어떠한 부분에 대하여 시공을 진행하는데 이러한 공정으로 어떻게 시공해서 어떤 모양을 갖추겠다는 내용입니다. 시공자는 현장에서 최초 면담 시에 설계도를 받아서 작업을 진행하지요. 업자들은 누구라도 설계대로 시공해 주면 된다라고 합니다. 맞습니다. 설계대로 시공하면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설계대로 ..